о중년의 넋두리..♣

김무성, 안대희와 광진·도봉 논의 … 오세훈엔‘구로을’ 제안

여행가/허기성 2016. 1. 13. 09:56

김무성, 안대희와 광진·도봉 논의 … 오세훈엔‘구로을’ 제안

지난 주말 직·간접 잇따라 접촉
안대희, 중랑을 제안받고 난색
“무작정 나가라고만 하니 … ” 반발
오세훈도 “왜 자꾸 바꾸라하나”

기사 이미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주민자치 실질화 대토론회’에 참석했다. 김 대표는 공석인 인재영입위원장 지명에 대해 “상향식 공천을 위해 일부러 비워뒀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난 주말 소리 없이 바빴다. 여러 비공식 일정을 소화했지만 그중 주목되는 직간접의 접촉이 있었다. 안대희 전 대법관을 따로 만났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제3자를 통해 메시지를 교환했다.

김 대표가 물밑에서 두 사람에게 전한 메시지는 다음의 한 가지였다. “총선과 관련해 현재 계획을 버리고 험지(險地·새누리당이 불리한 지역)에 출마해달라.” 이 과정에서 김 대표는 서울 강북 지역 선거구들을 구체적으로 거론해가며 이들에게 출마를 권유했다고 한다.지난해 말 두 사람으로부터 “출마 지역과 관련해 당의 뜻을 따르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김 대표가 ‘험지 배정 작업’에 돌입한 양상이다.

김 대표는 안 전 대법관에겐 “서울 중랑을에 나가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고 한다. 새누리당은 중랑을을 서울 ‘동북 벨트’의 중심지로 놓고 있다. 현역은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이다.

중랑갑 현역도 더민주 서영교 의원일 정도로 중랑구는 야당이 강세인 지역이다. 다만 18대 총선 땐 갑·을 모두에서 한나라당 후보(각각 유정현·진성호)가 당선됐던 곳인 만큼 새누리당으로선 총선 수도권 전략상 반드시 되찾아 와야 할 지역으로 꼽고 있다.하지만 안 전 대법관은 중랑을 출마 제안에 난색을 표시했다는 게 김 대표 주변의 얘기다. 두 사람은 강북 지역의 다른 선거구들로 눈을 돌려 도봉구와 광진구에 대한 얘기도 오래 주고받았다고 한다.

 

안대희(左), 오세훈(右)

새누리당 관계자는 “안 전 대법관이 김 대표의 제안을 받아들여 서울 험지로 간다면 도봉구나 광진구로 갈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도봉·광진구는 중랑보다 더 험지일 수 있다.

도봉구의 현역은 고 김근태 전 의원의 부인인 더민주 인재근(갑) 의원과 유인태(을) 의원이다. 광진구 현역은 더민주를 탈당한 김한길(갑) 의원과 더민주 최고위원인 추미애(을) 의원이다.

오세훈 전 시장에게도 만만찮은 지역을 제안했다. 김 대표가 인편을 통해 출마를 제안한 지역구는 구로을이었다. 구로을의 현역은 더민주 박영선 의원이다. 탈당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동시에 당에서 선거대책위원장 제안을 받을 정도로 야권에서 영향력 있는 3선 중진이다.

새누리당 서울시당 관계자는 “구로는 서울 ‘서남 벨트’의 핵심 지역”이라며 “수도권 호남 민심의 풍향계 같은 곳이라 여기에서 박영선 의원을 잡을 카드가 누굴지 당이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서남 벨트의 중심에 오세훈 카드를 내겠다는 김 대표의 구상이 제대로 굴러갈지는 미지수다. 서울 종로에 예비후보 등록까지 한 오 전 시장은 역시 인편을 통해 김 대표에게 “종로만큼 험지가 어딨다고 자꾸 지역구를 옮기라는 것이냐”는 반발성 메시지를 전달했다.

오 전 시장 측근은 “야당 대표를 지낸 현역 정세균 의원을 쉽게 이길 수 있다고 보는지 당 지도부에 묻고 싶다”며 “‘정치 1번지’ 종로에서 지고 다른 서울 험지에서 이기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했다.

 

 


안 전 대법관도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작정 (험지로) 나가라고만 하면 다 되는 것이냐”고 불만을 표시했다. 한 측근은 “거물급이란 이유로 사람을 험지도 아닌 사지(死地)에 몰아넣어선 안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안 전 대법관 주변에선 “서울 양천이나 송파구 정도면 혹시…”란 반응도 있다. 송파을은 유일호 의원의 경제부총리 발탁으로 비어 있는 상태다.

김 대표는 안 전 대법관이나 오 전 시장이 서울 강북 지역 출마로 선회할 경우 이들을 ‘당 영입 인재’로 간주해 당 최고위원회 의결을 통해 100% 여론조사만으로 경선을 치르도록 배려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해야 대중적 인지도는 높지만 지역 지지조직이 없는 이들이 경선을 수월하게 치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전략공천은 절대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던 김 대표로서도 인재 영입과 상향식 공천 유지라는 원칙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