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택지지구 코앞에 ‘폐기물시설’ 짓겠다는 서울시
고양 택지지구 코앞에 ‘폐기물시설’ 짓겠다는 서울시
은평구 등 3곳 재활용쓰레기 처리 타당성 조사·기본계획 용역 수립
서울시가 경기도 고양시 1번국도와 창릉천 사이를 따라 서쪽 연접 지역인 은평구와 마포구 및 서대문구 등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할 기피시설 신설을 꾀하자 고양시민들이 거세게 들고 일어났다.
▲ 서울 은평구 폐기물처리시설 예상 위치도. <사진=고양시 제공>
특히 고양시는 해당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저지하는 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시민협의체 구성 및 행정소송 불사 등 주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처에 강력하게 나설 방침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 서울지역 폐기물처리시설이 신설되면 지역주민들에게 직접적인 피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입장이다.
이곳은 고양 삼송지구(2만3천729가구)와 2018년부터 입주계획인 지축지구(8천685가구) 등 2개 택지개발지구에 총 3만2천414가구 10만여 명의 주민들이 거주할 곳으로, 불과 50∼200m 거리밖에 떨어지지 않는 지역이다.
이 시설이 들어서면 삼송·지축지구 주민들은 소음과 악취 및 바람에 날리는 종이류 또는 비닐류 등에 따른 직접 피해와 함께 간접적으로 서울시 해당 3개 구에서 폐기물을 실어 나르는 차량들로 인한 대기질 오염 및 국도 1호선 교통 혼잡 등 각종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 상황이 이런데도 서울시는 최근 해당 3개 구에서 배출하는 재활용쓰레기를 광역으로 처리하기 위해 은평구를 통해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용역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서울시가 2000년 8월 폐기물처리시설 입지 선정 때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연접 도시 협의 절차를 무시한 것이다.
특히 2003년 은평 뉴타운 도시개발사업 부지 내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때도 고양지역 주민들의 반대 서명운동과 민원에 대한 서한문 발송 등 강력한 반대까지 묵살했던 연장선이라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삼송지구 호반베르디움 입주민 조강희(31·회사원)씨는 "서울시가 고양시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피시설을 은평구에서 계속적으로 추진할 경우 고양지역에 있는 난지물재생센터와 승화원 등 서울시 기피시설의 운영을 중단시키는 강력한 시민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 관계자는 "2012년 5월 양시 간 협약을 체결해 서울의 기피시설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것으로, 고양시민들을 기만하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며 "우리 시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반대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시민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주민 피해를 예방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서울지역 해당 3개 구의 재활용쓰레기를 처리하는 은평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사업 부지는 고양시와 연접한 은평뉴타운 도시개발사업 부지 내 은평구 진관동 76의 20번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