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아파트 싸게 사나 했더니 ‘가짜 분양권’
송도 아파트 싸게 사나 했더니 ‘가짜 분양권’
인천 송도국제도시가 지역주택조합원 모집에 대한 경찰의 내사 착수와 신축 아파트 허위 분양권 사기사건 등으로 뒤숭숭하다.
인천연수경찰서는 최근 송도국제도시의 한 부지에 아파트를 짓겠다는 명분으로 조합원을 모집해 가입비(계약금)를 받고 지역주택조합 설립 예정인 업체에 대해 내사 중이다.
경찰은 이 업체 관계자들이 지역주택조합원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걷은 1인당 2천만∼3천만 원가량의 계약금에 대한 사용처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조합원은 1천500명가량 모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측은 "주택법상 시행업체의 조합원 모집은 법률상 시시비비를 가릴 성격은 아니지만 조합 가입비 등 사용처에 대한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경찰은 송도국제도시 한 신축 아파트 허위 분양권으로 수천만 원의 사기를 당했다는 피해자들의 신고를 토대로 가짜 분양대행사 관계자를 쫓고 있다.
경찰은 최근 송도국제도시의 한 A 신축아파트 분양대행사 등에서 계약금 1억5천만 원 상당의 사기를 당했다는 피해자 5명의 신고를 접수하고 계좌를 추적, 중간에서 돈을 가로챈 김모(55)씨 등 일당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수사를 진행 중이다.
김 씨 일당은 남동구의 한 건물에 사무실을 차린 뒤 신축 아파트 주위 부동산중개업소 등을 통해 피분양자들을 모집했다.
이들은 입주자들이 신축 아파트의 분양권을 취득한 뒤 입주를 해야 등기 등 소유권이 넘어간다는 점을 이용해 분양대행사 직원인 것처럼 행세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김 씨 등은 사무실에 찾아온 피해자들에게 "회사 보유분 분양권을 싸게 주겠다"는 말로 시세보다 1천만∼2천만 원이 싼 3천만 원가량의 계약금을 받아냈다. 피해자들을 속인 뒤 허위 분양권을 판매한 것이다.
계약금을 건넨 피해자들은 약속한 날짜까지 등기이전이 이뤄지지 않자 대행사 사무실을 찾았지만 김 씨 등은 이미 종적을 감춘 상태였다.
경찰은 피해자들의 진술과 계좌 추적 등을 통해 2주 전부터 김 씨 일당을 추적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연수서에 피해 사실을 알려 온 5명 외에 다른 피해자들은 직접 검찰에 고발했고, 김 씨 등이 활동했던 지역 관할인 남동경찰서에도 피해 사례가 상당수 접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김 씨 일당을 쫓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김 씨가 피해자들에게 돈을 돌려줄 테니 선처 여부를 묻는 연락을 해 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