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은퇴후 캠핑카로 전국 일주 해볼까..10년새 10배 성장
국내 캠핑 인구는 2011년 60만명에서 올해 600만명(업계 추산)으로 10배의 성장을 보였다. 이에 발맞춰 국내 캠핑카 시장도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까지 국내 등록된 캠핑카 대수는 9231대다. 2007년 346대보다 30배 가까이 증가했다. 실제로 캠핑카 관련 박람회를 가면 캠핑카 구매 문의를 위해 고객들이 줄을 서서 기다릴 정도다. 지난 주말(10월19~21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오토위크에서도 캠핑카 부스가 전체 전시장 면적의 3분의1 가까이 차지 할 만큼 뜨거운 인기를 누리고 있다.
캠핑카는 차량 내에서 숙식이 가능해 오랜 기간 동안 여행이 가능한 자동차다. 동력의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캠핑시설을 갖추고 자체 동력을 이용 할 수 있는 차량은 모터홈 혹은 모터카라반으로 불린다. 반대로 자체 동력 없이 캠핑 시설만 갖추고 차량 후면에 연결하는 캠핑카는 캠핑 트레일러라고 부른다. 캠핑카는 텐트를 설치하고 해체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 에어컨이나 히터, 화장실, 조리시설 등을 갖추고 있어 집과 다름없다.
캠핑카 시장의 성장은 고령화와 낮은 인구성장률, 그리고 늘어난 여가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UN이 정한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65세 이상 고령자가 7%가 넘으면 고령화사회, 14%가 넘으면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초고령사회다. 지난 7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자는 738만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14.3%를 차지한다. 고령화 사회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노후를 준비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귀농과 여행을 꿈꾼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유로운 여행을 떠나기는 쉽지 않다. 시골에 땅을 사서 집을 짓는 것도 많은 비용이 든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여행과 시골생활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캠핑카다. 차 한 대로 이동은 물론 내가 머물고 싶은 장소에서 숙박과 취사까지 한 번에 가능하다. 은퇴 후 자녀를 독립시키고 캠핑카를 타고 여유롭게 노년을 즐기려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 주52시간 근무제 실시로 여가시간이 증가한 것도 캠핑카 시장의 증가 이유로 꼽힌다. 실제로 잡코리아에서 직장인 4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8.8%가 주52시간 근무제 도입 후 여가시간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늘어난 여가시간을 운동 및 건강관리, 취미생활, 가족 및 친구와 시간 보내기, 휴식, 직무 자격증 취득, 밀린 집안일 하기 등으로 즐기고 있다. 앞으로 주52시간 근무제가 안착되면 캠핑 인구로의 유입도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