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포] 판교발 집값 급등 용인일대 |
"두달전 샀는데… 2억 얹어줄게 팔라네요" "판교분양까지 더 오를것" 주인들 매물 거둬 수요자들도 엄두 못내… 사실상 거래 실종
[조선일보 이위재 기자]
“정부 부동산대책이 무섭지 않냐고요? 저, 정부 좋아할래요. 4억원 주고 산 아파트가 지금 얼만지 아세요? 흐흐흐”(용인 신봉동 K씨) “연초 대비 6000만원 올랐는데 더 오를지는 대통령도 무당도 모를 겁니다”(용인 구성읍 주민)….
요즘 경기도 남부지역 주민들의 입은 귀에 걸려 있다. 부동산을 잡겠다는 정부대책이 나올 때마다 거꾸로 집값은 하늘높은 줄 모르고 뛰고 있다. 연초 분당에서 시작된 가격상승이 남하(南下)하며 죽전, 용인, 수원을 달구더니 이제는 옆으로 퍼져 과천, 평촌까지 들썩이고 수년 동안 부동산가격이 요지부동이던 산본까지 그 열기가 번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핵은 용인이다. 매주 각 부동산 사이트가 발표하는 시세표에서 용인 일대 아파트는 주가상승을 표시하는 빨간색 화살표가 연초부터 꺾일 줄 모른다.
“요즘 아파트값 오르는 게 겁날 정도예요.” 용인시 수지읍 아파트를 매입한 김모(52)씨는 집을 산 지 두 달도 안 돼 부동산중개업소로부터 “집을 되팔라”는 전화를 수없이 받았다. 5억원을 주고 산 아파트에 프리미엄 1억8000만원을 얹어주겠다는 유혹부터 심지어 “2억원을 더주겠다!”는 ‘콜’도 있었다.
3일 낮 경기 용인 상현동 중개사무소 거리. 아파트값이 올 들어 불과 서너 달 사이 2억~3억원씩 오른 이곳의 공인중개사 사무소는 대부분 개점휴업 상태였다. 거래는 없고 호가(呼價)만 높아지자 중개인들이 사실상 일손을 놓아버린 것이다.
H공인중개사무소 사무실 유리 외벽에 나붙은 안내장에 나와 있는 아파트 매물은 몇 개 되지 않았다. 신봉동 S공인, 성복동 L부동산 등 일대 공인중개사무소 10여곳을 둘러본 기자에게 중개사들은 “그나마 있던 매물도 자취를 감추고 있다”고 말했다. 올 11월 판교가 분양되면 다시 오를 텐데 왜 지금 파느냐며 매물을 거둬들인다는 것이다.
요즘 용인지역의 부동산 상황을 잘 설명하는 말은 ‘아파트값은 부르는 게 값’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성복동 LG빌리지 3차아파트 52평형은 5월 한 달 동안 1억2000만원이 뛰어 최고 6억5000만원에서 7억원을 맴돌고 있다. 지난해 이맘때 매물은 4억원 안팎이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6개월간 가장 가격이 많이 오른 경기도 내 아파트 30위권 내의 26개 아파트가 용인지역 아파트였다.
원래 용인은 난개발 후유증에다 교통불편까지 겹쳐 부동산 열풍과 거리가 멀었다. 올 초 분당에 부동산열풍이 불 때도 “남의 이야기 아니냐”며 시큰둥했다. 그러다 상황이 바뀐 것은 올 초였다.
정부가 판교 신도시 평당 분양가를 1500만원 안팎으로 발표하자 용인 지역 집주인들이 “판교랑 용인이 다를 게 뭐냐”며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다는 게 공인중개사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이전까지는 평당 1000만원을 넘지 못했다.
사태가 심상치 않자 건설교통부가 4월 21일 용인시 신봉·죽전·성복·풍덕천·동천동 등 5개동을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추가 지정, 투기 열풍을 차단하려 나섰다. 그러나 이미 고삐가 풀린 상태였다. 용인은 서울 강남을 제치고 지난주 아파트 매매가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이 됐다.
주민들은 기대 반 우려 반이다. 신봉동 자이1차아파트 33평형에 사는 서강현(45)씨는 “실감나지는 않지만 일단 집값이 올라 기분은 좋다”고 말했다. 자녀 교육 때문에 분당에서 전세를 살며 죽전동 현대홈타운아파트 33평형을 전세 내준 김성진(43)씨는 “자꾸 부동산이 과열된다는 소식이 퍼지니까 정부에서 또 세금 매길 궁리나 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위재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wjlee.chosun.com])
| |
직장인 10명 중 6명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 준비에 필요한 자금 규모로는 3억∼4억원 미만을 꼽은 직장인이 가장 많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지역 직장인 1005명을 대상으로 ‘노후대책에 관한 실태조사’를 한 결과, 64.6%가 노후를 대비하고 있다고 응답, 2년 전 조사 때의 32.4%보다 2배로 높아졌다고 1일 밝혔다.
연령별로는 20대 직장인의 48.9%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30대 64.8%, 40대 74.9%, 50대 72.3%로 나타나 중장년층뿐 아니라 20대와 30대 직장인도 노후 문제에 적극 대처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노후자금을 마련하는 수단으로는 저축·이자소득을 제시한 사람이 37.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개인연금(21.4%) ▲국민연금(17.1%) ▲부동산 임대료(14.5%) ▲퇴직금(5.3%)이 뒤를 이었다. 노후준비에 필요한 자금으로는 3억∼4억원 미만을 생각하는 사람이 29.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1억∼3억원 미만 23.4%, 4억∼5억원 미만 16.2% 순이었다.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이 노후대책 수단으로 충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부족하다’는 응답이 63.3%, ‘상당히 부족하다’는 27.2%로 10명 중 9명이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을 불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