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은 체중을 전적으로 지탱하는 부위다. 자연히 무리가 가기 쉽다. 더구나 무릎은 다른 관절에 비해 손상을 받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발목 관절이나 엉치뼈의 경우 동그란 소켓 안에 공이 들어가서 움직이는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다.
이와 달리 무릎 관절은 평평한 접시 모양의 종아리뼈에 동그란 허벅지뼈가 얹혀 있는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대나 근육이 받침대 역할을 해주지 않으면 탈골되기 쉬운 구조다. 뼈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릎 바깥쪽과 안쪽에 인대 2개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고, 무릎 안쪽으로 전방 십자인대와 후방 십자인대가 엇갈려 위치함으로써 무릎관절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네 개의 인대가 사방에서 무릎을 보호하고 있지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허벅지뼈와 종아리뼈 사이에는 초승달 모양을 한 두 개의 연골판이 무릎 바깥쪽과 안쪽에 위치해 있다. 이 연골판은 두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 안의 영양분을 고루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사방팔방에서 무릎뼈를 호위하고 있지만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 앞에선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무릎손상에는 연골판 손상과 인대 파열이 있다.
우선 무릎을 갑자기 펴거나 운동 중 충격을 받으면 연골판이 찢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생기고 웅크려 앉거나 무릎의 방향을 트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히 나이든 사람은 노화로 인해 연골판에 탄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쪼그려 앉거나 산에서 급하게 내려오는 경우 혹은 다리가 약간 틀어진 경우에도 연골판이 쉽게 파열된다. 구조상 바깥쪽보다 안쪽의 연골판이 더 잘 찢어진다.
연골판이 손상을 입으면 무릎이 쑤시고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특히 오리걸음을 하듯이 쪼그려 앉으면 위쪽의 허벅지뼈가 찢어진 부분을 짓누르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진다. 이때는 통증이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무릎을 옆으로 살살 돌리면서 펴면 잘 펴진다.
심하게 다치지 않았을 경우엔 별다른 통증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증이 없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연골판은 가장자리 3분의 1 정도를 제외하면 피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로 재생되지 않는다. 수술을 하지 않으면 무릎뼈의 연골을 손상시켜 관절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또 손상 후 시간이 지나면 근력과 근육량이 줄어들어 다리가 가늘어진다.
따라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은 후 상태에 따라 신속히 수술을 받아야 한다. 손상이 부분적으로 일어났을 때는 손상된 부위만 짼 다음 봉합하는 수술을 한다. 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연골판 전체를 제거해야 한다. 이때는 우선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방법이 있고, 뼈연골까지 다쳤을 때는 자신의 연골조직을 배양해 이식하기도 한다. 수술 후에는 당분간 붕대를 감고 지내고 가능한 한 무릎을 자주 올리고 있어야 한다.
나이든 사람에게서 연골판 손상이 잘 나타나는 데 비해 격렬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사람은 인대를 다치기 쉽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가장 많다. 국내 경기 도중 무릎을 다쳐 월드컵 출전의 꿈을 접어야 했던 이동국 선수도 전방십자인대가 찢어진 경우다. 인대가 파열되면 대개 본인이 끊어졌다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대가 파열되면 종아리뼈를 앞뒤로 당기거나 밀었을 때 뼈가 어긋나는 등 관절이 불안정해진다.
인대의 일부분만 다쳤을 때는 통증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방치하기 쉽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연골 손상을 가속화시켜 결국 퇴행성 관절염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저절로 붙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술을 받는 것이 최선이다. 보통 끊어진 인대를 꿰매거나 신체 다른 부위의 힘줄을 이용해 인대를 새로 만든다.
수술 후 약 2주간은 목발을 사용하고 이후 4~6주 동안은 보조기를 사용하게 된다. 또 근력강화운동이나 무릎관절운동과 같은 재활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2개월 정도 지나면 정상적으로 걸어다닐 수 있고 6~9개월 이후엔 조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무릎 관절은 평평한 접시 모양의 종아리뼈에 동그란 허벅지뼈가 얹혀 있는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대나 근육이 받침대 역할을 해주지 않으면 탈골되기 쉬운 구조다. 뼈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릎 바깥쪽과 안쪽에 인대 2개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고, 무릎 안쪽으로 전방 십자인대와 후방 십자인대가 엇갈려 위치함으로써 무릎관절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네 개의 인대가 사방에서 무릎을 보호하고 있지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허벅지뼈와 종아리뼈 사이에는 초승달 모양을 한 두 개의 연골판이 무릎 바깥쪽과 안쪽에 위치해 있다. 이 연골판은 두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 안의 영양분을 고루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사방팔방에서 무릎뼈를 호위하고 있지만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 앞에선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무릎손상에는 연골판 손상과 인대 파열이 있다.
우선 무릎을 갑자기 펴거나 운동 중 충격을 받으면 연골판이 찢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생기고 웅크려 앉거나 무릎의 방향을 트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히 나이든 사람은 노화로 인해 연골판에 탄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쪼그려 앉거나 산에서 급하게 내려오는 경우 혹은 다리가 약간 틀어진 경우에도 연골판이 쉽게 파열된다. 구조상 바깥쪽보다 안쪽의 연골판이 더 잘 찢어진다.
연골판이 손상을 입으면 무릎이 쑤시고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특히 오리걸음을 하듯이 쪼그려 앉으면 위쪽의 허벅지뼈가 찢어진 부분을 짓누르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진다. 이때는 통증이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무릎을 옆으로 살살 돌리면서 펴면 잘 펴진다.
심하게 다치지 않았을 경우엔 별다른 통증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증이 없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연골판은 가장자리 3분의 1 정도를 제외하면 피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로 재생되지 않는다. 수술을 하지 않으면 무릎뼈의 연골을 손상시켜 관절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또 손상 후 시간이 지나면 근력과 근육량이 줄어들어 다리가 가늘어진다.
따라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은 후 상태에 따라 신속히 수술을 받아야 한다. 손상이 부분적으로 일어났을 때는 손상된 부위만 짼 다음 봉합하는 수술을 한다. 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연골판 전체를 제거해야 한다. 이때는 우선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방법이 있고, 뼈연골까지 다쳤을 때는 자신의 연골조직을 배양해 이식하기도 한다. 수술 후에는 당분간 붕대를 감고 지내고 가능한 한 무릎을 자주 올리고 있어야 한다.
나이든 사람에게서 연골판 손상이 잘 나타나는 데 비해 격렬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사람은 인대를 다치기 쉽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가장 많다. 국내 경기 도중 무릎을 다쳐 월드컵 출전의 꿈을 접어야 했던 이동국 선수도 전방십자인대가 찢어진 경우다. 인대가 파열되면 대개 본인이 끊어졌다는 것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대가 파열되면 종아리뼈를 앞뒤로 당기거나 밀었을 때 뼈가 어긋나는 등 관절이 불안정해진다.
인대의 일부분만 다쳤을 때는 통증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방치하기 쉽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연골 손상을 가속화시켜 결국 퇴행성 관절염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저절로 붙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술을 받는 것이 최선이다. 보통 끊어진 인대를 꿰매거나 신체 다른 부위의 힘줄을 이용해 인대를 새로 만든다.
수술 후 약 2주간은 목발을 사용하고 이후 4~6주 동안은 보조기를 사용하게 된다. 또 근력강화운동이나 무릎관절운동과 같은 재활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2개월 정도 지나면 정상적으로 걸어다닐 수 있고 6~9개월 이후엔 조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³о행복의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슈퍼모델 같은 하체 만드는 운동 비법 (0) | 2006.08.01 |
---|---|
그녀에게 보내는 섹스 경고 (0) | 2006.07.29 |
가지..는 다이어트 식품 (0) | 2006.07.26 |
[스크랩] 각종약초의 성능 (0) | 2006.07.23 |
[스크랩] 토종약초182가지 (0) | 2006.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