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온몸 아픈 '섬유근육통', 외부 자극에 과민한 탓
섬유근육통은 특별한 이유 없이 온몸에 통증을 느끼는 병이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섬유근육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9년부터 5년 간 12.2%씩 증가했다. 섬유근육통이 늘고 있는 원인에 대해 전남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신석 교수는
"섬유근육통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훨씬 많은데, 영국의 연구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여성들이 직장 생활 등 노동 강도가 세지고, 스트레스가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 강동구에 사는 천모(57)씨는 수년 전부터 온몸이 욱신욱신 쑤시고, 피로감이 심했다. 처음에는 체력이 약해서 그런가보다 여겼지만, 얼마 전부터는 어깨부터 골반·다리까지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 밤에 잠들기도 힘들었다. 아침에는 샤워만해도 피곤해서 누워있어야 했다. 증상이 너무 심해 병원에 갔더니 의사는 '섬유근육통'이라고 진단을 내렸다. 의사는 "뇌에서 통증 조절 작용에 이상이 생겨, 외부의 평범한 자극을 통증으로 알아채고 반응을 과도하게 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섬유근육통 환자 늘어… 여성에게 많아
섬유근육통은 특별한 이유 없이 온몸에 통증을 느끼는 병이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섬유근육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9년부터 5년 간 12.2%씩 증가했다. 섬유근육통이 늘고 있는 원인에 대해 전남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신석 교수는 "섬유근육통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훨씬 많은데, 영국의 연구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여성들이 직장 생활 등 노동 강도가 세지고, 스트레스가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섬유근육통이 생기는 이유의 절반은 통증에 민감한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있고, 나머지 절반은 교통사고·수술 등 외상, 만성 간염·관절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 이신석 교수는 "통증에 민감한 사람이 교통사고, 질병 등을 경험한 후에 섬유근육통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온몸 통증·피로·불면증 '3대 증상'
섬유근육통의 3대 증상은 ▲온몸에 걸친 근육통 ▲심한 피로감 ▲불면증이다. 이 외에도 우울증, 소화장애, 과민성대장염, 변비, 방광염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강동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양형인 교수는 "환자마다 호소하는 증상이 수십 가지나 될 정도로 많아서 진단이 잘 안된다"며 "병이 아니라고 생각하거나, 이 병원 저 병원 전전하다가 꾀병으로 오해를 받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대한류마티스학회에 따르면 섬유근육통 환자가 병원 방문까지 1년 4개월 이상 걸리고, 병 진단까지는 병원 방문 후 7~8개월이 걸린다. 섬유근육통은 진단을 받지 않고 입증되지 않은 요법을 쫓아다니다 비용만 낭비하고 치료도 안 될 수 있다. 이신석 교수팀이 2013년 의학잡지 '류마톨로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98명의 섬유근육통 환자를 분석한 결과, 병 진단 3개월 전에 섬유근육통 치료를 위해 들인 비용이 2139달러였지만 진단 후에는 1114달러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에 통증 등 증상은 병 진단 후에 훨씬 완화됐다.
◇진단 늦으면 평생 약먹어야
섬유근육통 진단은 우리 몸을 19개의 부위〈표〉로 나눠 그 가운데 몇 군데가 아픈지 표시하고, 그 다음 ▲피로 ▲잠에서 깨어날 때의 기분 ▲기억력이나 집중력 정도 ▲관절통·두통 등 신체 증상 정도를 점수를 매겨 진단한다.
통증이 심하지 않고, 일상생활의 지장이 크지 않을 때는 비약물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양형인 교수는 "스트레스는 확실히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산책이나 스트레칭 같은 가벼운 운동을 일주일에 2~3회 시작하다가 점차 근력이 생기면 운동 강도를 높이고 운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처방에도 증상이 낫지 않으면 약물을 써야 한다. 항우울제·항경련제·진통제 등을 쓴다. 약은 증상에 따라 1~2년 정도 쓰다가 끊거나, 진단이 늦어 증상이 심한 사람은 평생 써야할 수도 있다.
쑤시고 뻐근한 '근육 病' 어떻게 치료하나
근육에 생기는 병 중 대표적인 게 근막동통증후군과 섬유근육통이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정형외과 유연식 교수는 “근막동통증후군과 섬유근육통은 증상이 비슷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므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나쁜 자세로 오랫동안 있어서 근육이 뒤틀리거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생긴다. 주로 목·어깨·허리·엉덩이 같은 특정 부위의 근육이 아픈데, MRI(자기공명영상)나 CT(컴퓨터단층촬영)로도 진단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막동통증후군은 촉진(觸診)이 중요하다. 아픈 부위를 누르다 보면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통증 유발점을 찾을 수 있다. 근육을 이완시키는 마사지나 온열요법으로 치료한다. 이런 치료로 낫지 낫지 않으면 통증 유발점에 주삿바늘을 찔러서 근육을 풀어주는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섬유근육통은 온 몸의 근육이 쑤시고 뻐근한 통증이 3개월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촉진 등으로도 진단이 잘 안 된다. 섬유근육통이 있는 사람은 세로토닌 분비량이 적고,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가 커 심리적인 요인이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삼성서울병원 류마티스내과 차훈석 교수는 “통증이 여러 부위에서 느껴지고, 무리하지 않아도 피로하고, 불면증이 있으며, 감각 이상이 동반되면 섬유근육통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통증 유발점도 근막동통증후군보다 많다. 진통제나 항우울제 등을 복용하면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게 증상 치료에 도움이 된다.
'³о삶"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에게 지원받은 주택구입비 5천만원 넘으면 증여세 물 수도 (0) | 2015.12.02 |
---|---|
"빚 내서 월세받고, 장사한다"..부동산·자영업 대출 '급증' (0) | 2015.11.30 |
“젊은 여성 하루 섭취열량 150㎉ 부족” (0) | 2015.11.27 |
섹스를 많이하면 좋은 12가지 이유 (0) | 2015.11.25 |
금호고속 버스 증도운행시간표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