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캠핑버스테마여행

[나눔]사랑방!

57세까지 빚 늘리다가…자녀 결혼시키려고 집 판다

여행가/허기성 2015. 12. 22. 21:51

57세까지 빚 늘리다가…자녀 결혼시키려고 집 판다

 

서울 탑골공원을 찾은 어르신들이 모여 앉아 소일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보통 57세까지는 꾸준히 금융부채를 늘린다. 그러다가 1차 은퇴시기인 58세부터 금융부채를 점차 줄여나갔고 자녀들이 결혼 등으로 출가하는 65세 전후로 부동산 실물자산을 처분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2015년 12월)에서 생애주기 가설을 활용해 연령대별 금융부채, 자산, 소득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가장이 직장생활을 하는 20~50대까지는 가계 금융부채는 꾸준히 증가했다. 실물자산도 동시에 늘었다. 은퇴 전까지 소득 이상으로 부채를 늘려 소비, 자산축적에 활용한다는 얘기다.

특히 부동산 실물자산은 은퇴 전까지 금융부채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가 은퇴 이후 금융부채보다 감소폭이 컸다. 이는 은퇴 이후 실물자산을 처분해 빚을 갚는 사례가 많다는 뜻이다.

특히 65세~70세 금융부채와 실물자산이 동시에 대폭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 연령대에는 2차 은퇴시기인데다 자녀 출가로 대형주택을 처분해서 금융부채를 상환하고 소형주택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30대 1억6000만원→2억5000만원 △40대 2억4000만원→2억8000만원 △50대 2억5000만원→3억원으로 50대까지 현 거주지 주택가격이 이사할 주택가격보다 낮았다.

반면 60세 이상(60대 3억3000만원→1억9500만원, 70대 3억3000만원→1억9700만원)에서는 고가주택에서 저가주택으로 옮겨가는 사례가 더 많았다.

금융부채 보유가구 비중은 50대 65.1%, 60대 48.2%, 70대 이상 20.8%로 급격히 하락했다.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50대 109.8%에서 60대 107.4%, 70대 이상 91.7%로 하락했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50대 46.8%, 60대 43.3%, 70대 이상 32.5%로 점차 떨어졌다.

인구 고령화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인 50~60대가 보유한 금융부채가 전체 44.8%에 달해 이들이 부채감축을 시작할 경우 전체 가계부채 총량도 둔화될 전망이다.

다만 이들 고령층의 금융부채 점유율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한은 분석결과 60~70대 가구 금융부채 점유율이 2014년 3월 17.3%에서 5년 뒤에는 21.8%, 10년 뒤에는 26.7%로 각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7세까지 빚 늘리다가…자녀 결혼시키려고 집 판다
다만 베이비부머 세대가 일시적으로 자산매각을 통한 디레버리징(부채감축)에 나설 경우 부동산가격 급락 등으로 시장에 부담을 줄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과 달리 부동산 등 실물자산 편중도가 80% 이상이며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2~3배 높다. 특히 55세~74세 가구는 이 비율이 85~115%로 부채를 갚기 위해서는 집을 팔아야 가능한 가구가 많다는 분석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산축적연령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 가계 금융부채 디레버리징이 단기간에 쏠림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자산축적연령 비중은 2016년 40.4%를 고점으로 10년간 3.8%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같은 기간 주요국 평균치(2%포인트)의 약 2배다.

고령사회(2018년)에서 초고령사회(2026년)으로 진입하는 시기도 8년으로 주요국 평균(31년)대비 약 4배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가격 하락 및 소득감소에 취약한 한계가구(원리금상환비율 40% 이상, 순금융자산 0 미만)의 42.1%가 50~60대에 몰려있다는 점도 잠재적 위험요인이다. 2014년 기준 금융부채를 보유한 60대 이상 가구 금융부채 비율은 200%, 원리금상환비율은 30%를 각각 상회한다.

한은은 인구고령화가 본격화되는 2018년 이후 부채감축에 따른 자산매각이 본격화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약 3년 뒤에는 가계부채 상환에 따른 여파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금융기관의 독자적 주택연금대출이나 주택연금제도, 부동산집합투자기구(리츠)의 고령가구 주택매입 등을 통한 공적 부동산투자기구 설립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