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투자 역경 끝에 상생과 배려의 중요성 깨달아
사업 망하고 수억원 빚만
회사가 망하고 나자 수십억 원의 빚만 남았다. 빚을 갚다 보니 금쪽같던 땅들은 어느새 남의 손에 들어가 있었다. 사정이 급박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보유하고 있던 땅을 대부분 헐값으로 넘겨야 했다. 급한 눈치를 보이면 거저다 시피 빼앗아 가려고 달려드는 게 세상 인심인 것을 새삼 절감했다.
대충 빚을 정리하고 나자 점심 값이 없어서 굶고 다닌 적도 있었다. 견디다 못해 한때 자신의 부하 직원으로 일했던 친구에게 몸을 의탁한 채 4∼5년을 버텼다. 밑바닥부터 다시 시작하자는 심정으로 절치부심했다.
사실 K사장에게 아직 최후의 보루는 남아 있었다. 고향인 경기도 화성에 마지막까지 간직하고 있던 3만3000㎡(1만평)의 과수원이었다. 빚쟁이들에게 시달릴 때마다 ‘그냥 팔아버릴까’ 여러 번 망설였다. 하지만 차마 팔아넘기지 못했다. 워낙 애착이 컸던 땅이기 때문이었다.
처음부터 후일 재기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계산이 깔렸던 것은 아니었다. 단지 그가 부동산으로 돈을 벌어 제일 처음 사둔 땅이라서 미련이 컸다. 자식으로 치자면 장남 같은 존재였다.
회사가 망한 후 가지고 있던 땅이 대부분 경매에 넘겨졌지만 그 땅만 끝까지 지킬 수 있었다. 부동산 실명제 시행 이전에 친척 명의로 매입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실명제가 도입된 뒤에도 복잡한 집안 사정 때문에 본인 앞으로 땅의 명의를 돌려놓지 못했던 K씨는 이 땅이 훗날 자신에게 구원의 동아줄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세금만 조금 밀려있을 뿐 저당권 등의 설정이 없는, 그야말로 '깨끗한 땅'이었다. 회사가 망한지 6년이 지나자 여기저기서 연락이 오기 시작했다. 그동안 까맣게 잊고 지냈던 화성 땅을 팔라는 전화였다. 사정을 알아보니 과수원 인근에 신도시가 들어설 날이 멀지 않았다는 것이다.
뒤에 오는 사람 먹을 것도 남겨둬
3.3㎡당 10만원대에 매입했던 땅이 3.3㎡당 60만원대 호가했다. 산과 산이 겹쳐지는 곳에 넓게 자리 잡은 평평한 땅이라 쓰임새가 많다보니 하루가 다르게 호가가 뛰었다. 2007년 6월 인근에 신도시 지정 발표가 나자 땅값은 3.3㎡당 100만원대까지 급등했다.
K씨는 2008년 고민 끝에 한 물류창고 개발업자에게 3.3㎡당 80만원을 받고 땅을 넘겼다. 호가대로 3.3㎡당 100만원 이상을 받아 낼 수도 있었다. 하지만 긴 고생 끝에 깨달은 게 있었다. 바로 상생과 배려의 중요성이다. K씨는 뒤에 오는 사람이 먹을 것을 조금 남겨두자고 생각했다.
K씨는 땅을 팔아 얻은 차익을 대부분 일산,화성 땅에 재투자했다. 한때 자신의 부하직원이었던 친구가 운영하는 부동산중개사무실에서 일하면서 평소 봐두었던 땅이었다.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곧 대형 복합단지가 들어서게 될 부지 인근 도로와 인접한 밭이었다.
호재가 점차 가시화하면서 화성 양감 땅값도 오르기 시작했다. 3.3㎡당 165만원에 사들인 이 땅(밭 5000㎡)은 현재 3.3㎡당 250만원을 호가한다. 세금을 제하고도 대략 10여 억 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런저런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 장의 다큐] 우리 똑같이 생겼어, 하얗게 (0) | 2018.08.25 |
---|---|
한국 아파트가 유독 시끄러운 이유 있었네 (0) | 2018.08.22 |
남북, 개성~평양, 고성~원산 도로 현대화 합의 (0) | 2018.06.28 |
한반도 철도 ‘성큼’ , 동해선·경의선 협력 합의… (0) | 2018.06.03 |
남.북의 길..북을거쳐 유러시안 대형캠핑버스 뜬다! (0) | 201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