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가격 20% 내려라" 막무가내…
中, 車 판매 줄자 부품사에 몽니
베이징기차 현대차 협력사 협박
“현대차 판매가 줄어들며 중국이 말도 못할 정도로 행패를 부리고 있습니다.”
중국 완성차업체들이 국내 부품사를 압박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9월부터다. 베이징현대차에서 재무를 맡는 베이징기차는 밀렸던 부품 대금을 협력업체들에 지급하면서 조건을 달았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이후 자동차 판매량이 급감했다며 부품업체에 납품가격을 20% 이상 낮출 것을 요구한 것이다. 조건을 수용하지 않으면 더 싼 가격에 부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중국 업체로 부품사를 교체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베이징현대 구매 담당 파트는 대부분 중국 사람으로 채워져 있다”며 “성능을 테스트해 문제가 없으면 가격이 싼 중국 업체 제품을 사용하겠다는 기조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부품사들은 현대자동차의 부진이 길어지는 탓에 이 같은 압박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호소한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2014년과 2015년 글로벌 800만대를 판매해 정점을 찍은 뒤 2년 연속 글로벌 판매량이 뒷걸음질쳤다. 올해 목표로 잡은 755만대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대차의 판매량에 발맞춰 공장 생산 능력을 확대해온 부품사들의 물량 공백이 커진 가운데 중국의 심기를 거스르기 쉽지 않다.
부품업계가 국내 생산 물량을 중국으로 돌리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업체들은 국내에서 반제품을 만든 뒤 중국 공장에서 가공해 완성차 업체에 납품해왔다. 하지만 베이징기차가 책정한 납품단가에 맞추기 위해서는 관세와 물류비라도 아껴야 하는 실정이다. 이미 일부 업체들은 수출을 포기하고 대신 중국 현지 업체한테 반제품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여전히 국내에서 물량을 보내는 업체에는 노골적으로 현지 생산을 압박하고 있다. 다스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베이징기차는 최근 DTP-03(시트가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끔 하는 레일의 일종)을 다스 문등 공장에서 생산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거부할 경우 다른 업체에 물량을 넘기겠다는 문구도 함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로 인해 국내 고용환경이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자동차 제조업은 2016~2017년 직접 고용 인원 40만명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고용 인원은 올 초부터 매달 1,000명, 2,000명씩 감소하더니 지난달 기준 39만1,000명까지 내려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차 납품 물량은 쪼그라드는데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월급 주기도 버거워하는 부품사가 여럿”이라며 “중국까지 생떼를 쓰는 터에 고민이 크다”고 토로했다.
'이런저런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장우, 대전상가 매입후 `해당지역 개발예산` 따내 (0) | 2019.02.01 |
---|---|
[스크랩] "사양할게요, 결혼"…비혼 택하는 청년들 (0) | 2018.12.23 |
[스크랩] `인감 함부로 찍지 마라` 깨우쳐준 `톨죽 인감` 사건 (0) | 2018.12.19 |
[스크랩] "네이버에 광고 하실래요?" 초보사장님 울리는 바이럴광고 사기 (0) | 2018.11.23 |
[스크랩] 중국 단체관광객 온다’ 들뜬 도내 관광지 (0) | 2018.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