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대개 정신없이 지나가 버리는 신혼생활이지만 결혼 이후 재테크 성과의 상당부분은 이 시기에 기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결혼이 인생의 새로운 분기점이라면 신혼시기는 향후 재테크의 방향을 결정하는 초석인 셈이다. 내 집 마련에, 자녀교육에, 여기에 평소 꿈꿔왔던 여유있는 생활까지, 살면서 이뤄나가야 할 게 한 두 가지가 아니지만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 만만치 않은 투자여건은 결코 우리에게 우호적이지만은 않다.
1+1이 2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신혼 때부터 마음을 다잡아 시작해야 하는 이유이다.
결혼 이후부터 아이가 태어나기 전까지의 신혼기간은 비교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시기이다. 아무래도 연애 때에 비해 지출비용은 적게 들것이고, 요즘은 대부분 맞벌이를 하다 보니 가계의 수입을 합쳐보면 웬만한 고소득자에 버금가는 경우도 많다.
이러다 보니 돈 관리에 있어서도 느슨해지기 쉽다. 특히 맞벌이 부부의 경우 결혼 전에 서로 다른 생활을 한 점을 존중(?)해 각자의 수입은 부부 각자가 관리하기로 협약을 맺는 경우가 많다. 어찌 보면 매우 합리적인 방식처럼 보인다. 부부가 각자 따로 돈 관리를 하면서 필요한 생활비에 대해서만 나눠 내므로 의견대립이 있을 가능성도 적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이는 더 잘할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하는 셈이다. 이렇게 해서는 집중해서 돈을 모을 수 있는 신혼시기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 심지어 부부가 `둘 다 상대방쪽이 알아서 저축하고 있는 것이 있겠지`라고 미루다가 나중에 그 사실을 알고 크게 다투었다는 웃지 못할 얘기도 있다.
둘이 만나 한 가정을 이룬 이상 이제부터는 공동체인 셈이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솔직하게 각자의 재정상태를 공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 계획을 짜는 것이다.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은 경쟁자처럼 상대방으로부터 더 얻어내기 위한 눈치싸움이 아니라 가정이라는 회사를 함께 이끌어갈 평생의 동업자이기에 모든 수입과 필요한 지출내역을 공개하고 저축 통장은 물론 숨겨둔 빚이 있다면 이마저도 정확히 밝히면서 앞으로의 상환계획 등을 의논해야 한다.
간혹 결혼 전에 진 빚을 차마 밝히지 못하고 전전긍긍하다가 나중에 어쩔 수 없이 실토하곤 하지만 따지고 보면 이미 그 만큼 가계의 재테크에는 비효율적인 관리가 진행됐던 셈이다. 따라서 직장생활과 살림살이는 각자의 역할분담을 정해 두더라도 돈 관리 만큼은 더 잘할 수 있는 사람을 정해 한 사람이 모아서 관리하는 것이 훨씬 도움되는 방법이다.
모든 가계의 수입과 지출이 통장 한곳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집중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당장은 제약을 받는다는 것 불편할 수 있지만 쓰고 남는 부분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계획에 맞춰 저축하고 정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지출이 이루어 지도록 처음부터 관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신혼부부의 재테크에 있어서는 초기에 저축비중을 최대한 높게 잡을 필요가 있다.
가장 저축하기 좋은 여건임을 감안할 때 그리고 처음부터 각오를 다잡는 의미에서라도 저축비율은 최대한 높게 가져갈 필요가 있으며, 적어도 가계 수입의 절반 이상은 저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물론 맞벌이를 통해 수입이 더 많은 경우에는 저축비율도 그에 따라 더 높게 잡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1+1이 2 이상이 되는 시너지 효과의 창출 비결인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