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경매 '그린벨트 토지'만 신났다
지난 6일 정부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관련 규제 개선 방침을 발표한 이래, 법원 경매에서 개발제한구역이 포함돼 있는 토지 경매 낙찰가율이 급등하고 있다.
정부의 개발제한구역 규제개선 방안 발표 이후인 7일부터 19일까지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 경매 낙찰가율은 79.4%를 기록했다. 이는 규제개선 방안 발표 이전인 올해 1~4월 개발제한구역 평균 토지 낙찰가율 55.8%보다 23.6% 포인트 급등했다.
평균응찰자수도 3.1명으로 1~4월 평균 2.7명에 비해 0.4명이나 늘었다. 낙찰가율은 발표 이후 7~19일까지 전체 토지 낙찰가율 66.1%에 비해서도 13.3%포인트 이상 높았다
7일 이후 낙찰된 개발제한구역 토지 29건 중 절반가량인 14건이 낙찰가율 80%를 웃돌았으며, 이중 10건은 100%를 넘겼다. 전체 29건 중 8건은 유찰없이 신건에 낙찰되기도 했다.
낙찰건수 중 18건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밀집했고, 7건은 지방광역시, 나머지 4건은 지방도 지역에서 낙찰됐다.
낙찰가율이 가장 높았던 토지는 경북 칠곡군 지천면 덕산리 소재 임야 3174㎡로 신건에 4명이 응찰에 참여해 감정가의 130.6%인 1368만원에 낙찰이 이뤄졌다.
응찰자가 가장 많이 몰린 물건은 경기 시흥시 정왕동 소재 임야 367.34㎡로 두 번의 유찰 끝에 8명의 응찰자가 몰려 감정가의 67.0%인 1551만원에 낙찰이 이뤄졌다. 해당 토지는 1종지구단위계획구역에 바로 접해 있으며, 현재 창고 및 과수, 농작물 등이 재배되고 있는 등 훼손된 개발제한구역이다.
“규제완화 발표 이후 그동안 토지시장에서도 가장 저평가되던 개발제한구역 물건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며 “하지만 아직 후속 방안이 나오지 않고 있고 전부 해제가 아닌 조건부 해제인 만큼 입찰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개발제한구역의 경우 금융권에서 담보 인정 비율이 낮은 편이라는 점을 감안해 대출가능 여부 및 금액을 입찰 전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캠버스·1박~2박 여행일정 안내♣ > 개발지"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 국제빌딩 주변 34층 의료관광호텔 들어선다 (0) | 2015.06.01 |
---|---|
땅값 떨어진 지자체 단 2곳…개발호재 예천 18%·영광 15% 올라 (0) | 2015.05.29 |
차량기지 떠나고 인근엔 고척돔… 저평가 굴레 벗어난다 (0) | 2015.05.19 |
일산.대화역/가평.에덴휴계소/목포(대양산업단지) "땅" 급급매물 50%쎄일 (0) | 2015.05.14 |
"수도권 최대신도시, 송산신도시가 온다" (0) | 201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