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타임머신처럼 버스는 근대의 아픔이 서린 1930년대의 목포로,정약용 선생이 유배 길을 걷던 조선 후기의 강진으로 데려다 주었다.
보는 것만으로도 온기가 느껴지는 다순구미
●목포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전남 목포 온금동溫錦洞의 옛 이름은 '다순구미'다. 따사롭다는 뜻의 사투리인 '다순'과 몽골어로 후미진 곳을 뜻하는 '구미'가 합쳐진 이름이다. 언뜻 보면 통영의 동피랑마을이나 부산의 감천문화마을을 닮은 듯하지만, 관광지화되어 버린 두 마을에선 찾기 힘든 포근함과 한적함이 있다. 일제 강점기의 조선내화공장이 아직도 그 자리에 있고, 70년대 대통령선거 포스터가 여전히 붙어 있을 만큼 옛 모습이 많이 남아 있는 다순구미. 사람의 인생을 닮은 듯 오르막내리막을 반복하는 작은 골목들이 얽힌 동네의 모습이 계속 유지됐으면 하는 바람은 잠시 들렀다 가는 여행자의 욕심일까. 지금 다순구미는 재개발지구로 선정되어 주민들이 하나둘 떠나가고 있다.
뱃사람들이 모여 살던 온금동에서는 아이들을 '조금새끼'라고 부르곤 했다. 조금새끼는 선원들이 어업을 나갈 수 없는 조금(썰물) 때 생겨 태어난 아이를 부르는 말이다. 한날에 태어난 아이들은 아버지의 생업을 물려받아 바다로 나갔다가 풍랑에 부딪혀 다시 한날에 바다에 묻힌다. 그래서 다순구미의 남자들은 생일과 제삿날이 같은 경우가 많다고.
목포에 있는 근대역사관은 우리나라 근대 역사의 슬픔과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근대역사관 본관은 과거 일본영사관으로 사용됐던 건물이다. 외벽에 새겨진 동그란 문양은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인 욱일승천기와 닮아 있으나 시기적으로 들어맞지 않아 일본 왕실의 문양인 국화로 추정된다. 외벽의 부서진 흔적들은 6·25 전쟁 당시 포탄의 흔적이다. 건물 뒤편에 자리한 굴은 일본인들이 전쟁 때 조선인을 강제 동원해 만든 방공호로 지금은 방공호가 지어지던 당시 노동착취의 현장을 재현해 전시하고 있다. 본관에는 일제 수탈에 대한 흔적, 일제강점기 당시 목포의 모습을 비롯해 근대 교육, 종교 등 목포와 우리나라의 근대사에 대한 기록이 전시되어 있다.
유달동 사거리를 지나 한 블록 더 직진하면 과거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로 사용됐던 근대역사관 별관을 만날 수 있다. 사진자료 위주로 전시된 별관 2층에는 과거 동양척식회사에서 사용했던 금고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금고 안에는 일제의 만행을 가감 없이 담은 사진들이 걸려 있는데, 그 모습이 너무 잔혹해 임산부나 노약자, 어린 아이들이 관람할 때는 주의가 필요할 정도다.
목포에서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영산강 하구에는 명물이 하나 있다. 한 쌍의 바위가 삿갓을 쓴 사람의 형상으로 보인다고 해 이름 붙은 '갓바위'다. 천연기념물 500호이자 목포 8경 중 6경에 해당하는 이 바위는 오랜 시간 풍화와 해식을 겪으며 만들어졌다. 소금장수와 아버지, 아라한과 부처님에 얽힌 두 개의 흥미로운 전설도 깃들어 있다.
재개발지구로 선정되어 주민들이 떠나가고 있지만 골목의 정겨움은 여전하다

응답하라, 1970년대 대선
대역사관 본관은 과거 일본영사관으로 사용됐던 건물이다
목포 근대역사관
(본관)전남 목포시 영산로29번길 6 목포문화원(별관)전남 목포시 번화로 18(본관)061 242 0340(별관)061 270 8728매일 09:00~18:00 월요일 휴관성인 2,000원, 청소년 1,000원
목포의 문화예술 쉼터
성옥기념관
목포의 전경이 시원하게 펼쳐지는 성옥기념관 로비에 들어서면 다양한 조각품과 거대한 보석, 그림들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성옥기념관은 '기업인이 되지 않았다면 소리꾼이 되었을 것'이란 고故 성옥 이훈동 선생에 대한 기록이 담긴 기록실과 3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시실에는 성옥 선생이 일본으로부터 지켜낸 우리의 문화재와 해외에서 가져온 진귀한 물건과 미술품 등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품들은 작가들이 기증했거나 성옥 선생이 '문화보국'을 위해 직접 구입한 것들이다.전남 목포시 영산로 11 061 244 2527 화요일~일요일 09:00~12:00, 13:00~17:00 월요일, 공휴일, 명절 휴관무료 www.sungok.or.kr
'о그때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차 산업을 견인하다, 시발자동차의 추억 (0) | 2016.02.13 |
---|---|
소녀상 옆에서 24시간 "전기장판이 모자라요" (0) | 2016.02.01 |
"내년 거제와 울산에서 1만 명 이상 해고된다" (0) | 2015.12.26 |
30번 퇴짜 맞고 임시 경비로… 그렇게 한달 또 버틴다 (0) | 2015.12.21 |
신화 속에 가려진 실패, 정주영의 본 모습 (0) | 2015.10.27 |